[바카라사이트]“눈앞에 벌레가 떠다녀요”, “작은 실이나 점이 보였다, 안 보였다 해요”와 같은 증상을 호소하며 안과를 찾는 사람이 많다. 눈앞에 날파리가 떠다니는 현상을 비문증이라고 부르는데, 10명 중 7명 이상의 사람들이 평생에 한 번은 겪을 만큼 흔하다. 이 중 당장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비문증 환자가 대부분이지만 비문증 자체가 망막질환의 신호일 수 있어 경계하고 관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우리 눈은 유리체라는 물질로 가득 차 둥근 공 모양을 유지하는데, 유리체는 90%가 물이고 나머지는 콜라겐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이 유리체는 나이가 들면서 많은 부분이 액화하면서 흐물거리는 상태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유리체가 단단히 붙어 있는 시신경 주변 부분이 떨어지면서 콜라겐 섬유가 뭉친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비문증은 우리 눈 안에서 실제로 혼탁한 결정이 생겨 눈 안을 떠돌아다니면서 생기는 증상으로, 떠다니는 결정의 모양에 따라 날파리, 지렁이, 먼지 등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결정은 시간이 지나 시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주변부로 이동해 없어지거나 적응되어 크게 불편하지 않은 상황이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비문증 증상이 지속되거나 개수가 늘고 크기가 커진다면 망막질환의 전조 증상을 의심해 볼 수 있어 서둘러 안과를 찾아 검사받아 봐야 한다.
특히나 눈이 번쩍하는 광시증을 동반한 비문증이 나타난다면 황반부에 동그란 구멍이 발생하는 질환인 황반원공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질환을 인지하지 못하고 방치하게 된다면 중심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유리체가 액화되는 과정에서 비정상적으로 망막과 유리체 분리 현상이 나타나면 망막 일부가 찢어지는 망막박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망막 조직 일부가 떠돌아다니며 비문증 증상이 나타난다. 망막박리를 방치하게 되면 망막 부위에 영양분이 전달되지 않아 시세포 기능이 저하되고 심한 경우 실명에 이르거나 안구 위축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문증이 오랜 기간 지속된다면 안저검사를 통해 비문 상태를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즉각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하늘안과 망막센터 유형곤 교수는 “비문증을 예방하는 방법은 특별히 없지만 다양한 안과 질환에 의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위해 평소 정기적인 안저 검사를 비롯한 눈 종합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라며 조언했다.
[바카라사이트=정민아 기자]news@바카라사이트times.co.kr